가야산

[스크랩] 서산 보원사지

phllilp7 2016. 4. 5. 06:32

서산 보원사지

유적명
서산 보원사지유적(瑞山 普願寺址 遺蹟)
 
조사기간
2006년~ 2012년
 

서산 보원사지(사적 제316호, 1987.07.10 지정)는 주변에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서산마애삼존불상"이 있으며, 보원사지에서는 1968년에 백제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되어 그 창건연대를 백제시대까지 올려볼 수 있다. 기록상 고려시대에 최전성기를 이루었고 조선시대까지 그 법등이 이어져왔으나, 이후 법등이 끊기면서 민가가 들어서고 그 흔적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이에 충청남도와 서산시에서는 사역의 종합적인 정비를 실시하고자 2006년부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와 협약을 맺었고,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총 7차에 걸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사역 서편영역은 오층석탑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 고려시대 중후반~조선시대 후반의 사찰 건물지들이 중복된 양상으로 확인되었다. 상층에서는 조선시대 중후반대 사찰 관련 건물지들이 오층석탑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보원사의 최종 가람으로 기록되어 있는 '講堂寺'와 관련된 사역으로 생각된다.

하층에서 확인 되는 건물지들은 고려시대 후반~조선시대 초반에 해당되는 보원사의 중심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부에서 확인되는 유구들은 구역별로 그룹을 이루는데 중심부는 서회랑과 남회랑지의 존재로 볼 때 회랑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추정된다. 남편부의 동쪽은 축대를 쌓아 경계를 이루고, 내부에 크게 2단으로 구성된 건물군이 확인되었는데, 상단과 하단 건물지가 그 중심축을 달리하는 등의 양상이 확인되고 있다. 남편부의 건물지는 중심부의 건물지와 서로 다른 그룹을 이루고 있어 선대 사찰 건물이 다원식(多院式) 구조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보원사는 법인국사보승탑 및 탑비, 문헌자료 등을 통해 매우 번창했던 사찰임을 알 수 있으나 그 창건시기 및 폐사 시점이 불명확하였다. 그러나 이번 조사를 통해 현재 오층석탑이 위치한 사역 중심부에서 최종 가람의 범위와 조성시기가 확인되었다. 또한, 동편 영역의 조사에서 9~10세기대에 해당되는 청자를 비롯한 고려시대 유물들이 다량 출토됨에 따라 이 일대에 그 창건기 혹은 번성했던 고려시대의 중창가람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적지로 지정된 거의 전역에서 고려시대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일부 동편 산사면까지 확장되는 점 등으로 볼 때 당시 사역의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원사지 발굴조사의 목적 중 하나이기도 했던 서산 마애삼존불과 연관된 백제사찰은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보원사지 사역 범위 내에는 그 존재가능성이 희미한 것으로 생각되며, 추가적으로 이 주변 거점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산 보원사지 발굴조사 현황표

연차조사기간조사지역(면적)조사내용출토유물비고
1차2006.03.~ 2006.06.사적지 북동편구역
(1,300㎡)
*사무실 예정 부지
건물지, 담장지, 보도시설 등 확인'丙子'銘 기와, 중국제 청자, 해무리굽 청자, 청자접시+이면편호(진단구) 등
2006.06.~ 2006.12.오층석탑 주변 일대사역 서편영역
(5,000㎡)
금당지, 줄기초건물지 등 조선시대 건물지 확인'普願寺三寶'銘 기와, 용문암막새, 연화문수막새, 청동정병, 청자잔탁 등
2차2007.03.~ 2007.12.사역 서편영역(7,703㎡)담장지, 건물지 등 확인 금당지 등 중심 건물지 세부 조사元祐通寶, 금동풍탁, 귀목문암막새, '三'銘 기와, '內贍'銘 분청인화문접시, 묵서명백자 등
2007.10.~ 2007.12.상수도공사구간 (443㎡)담장지, 부석시설 등 확인청자, 분청사기, 백자 등긴급 발굴조사
3차2008.03.~ 2008.12.사역 서편영역
(16,130㎡)
편영역 건물지 세부조사 장방형건물지, 담장지 등 확인금동보살좌상, 금강령, '大 普願寺'銘 기와 등
석조-당간지주 주변 사역 동편영역
(7,500㎡)
도기대호, 철제솥, 청자절요접시, 당초문암막새 등
4차2009.04.~ 2009.12.사역 서편영역
(23,630㎡)
서편영역 건물지 세부조사 동편영역 담장지, 건물지 등 확인금동여래입상, 범자연화문수막새, 당초문암막새, 연화문전, 백자발, 청자연봉 등
사역 동편영역
(2,200㎡)
5차2010.05. ~ 2011.04.사역 서편영역
(13,168㎡)
서편영역 건물지 세부조사 남서편 일대 건물지 7기 등 확인금동여래입상, 범자연화문수막새, 백자발, 도기장군 등
6차2011.05. ~ 2011.12.사역 서편영역
(22,403㎡)
서편영역 건물지 세부조사 축대, 남·북편 일대 하부 건물지 등 확인범자연화문수막새, 보상화문암막새, 어골문계 기와, 주름문 도기병, 철화문병, 백자발, 청자접시 등
7차2012.03. ~ 2012.11.사역 서편영역
(6,800㎡)
서편영역 건물지 세부조사 남·서편 일대 하부 건물지 등 확인연화문전, 망새기와, 치미, 도기대호 구연 및 동체부, 청자절요접시, 백자잔 등
사역 동편영역
(36,746㎡)
건물지, 담장지, 부석시설 등 확인상감청자잔탁, 청자화분, 해무리굽 청자, 도기대호, 석제도장, 어골문 기와 등시굴조사
출처 : 가야산역사문화연구회
글쓴이 : 내포사람 원글보기
메모 :